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LH 신혼·신생아 전세임대주택 가이드

by 리치머니97 2025. 8. 6.
반응형

신혼부부와 아이가 있는 가정에게 집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입니다.
2025년 LH 신혼·신생아 전세임대주택은 집 걱정, 전세금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여줄 강력한 정책입니다.

최대 20년 거주 가능! 전세금의 5%만 부담! 놓치면 후회할 정책을 지금 정리해드립니다 👇

 

📌 LH 신혼·신생아 전세임대주택이란?

 

LH가 무주택 신혼부부, 예비신혼부부, 신생아 가구를 위해 전세보증금을 지원하고,
입주자는 전세금의 일부만 부담하는 방식의 ‘맞춤형 주거 지원 제도’입니다.

 

  • 입주자가 원하는 주택을 직접 찾음
  • LH가 집주인과 전세계약 → 다시 입주자에게 재임대
  • 신생아 가구는 우선공급 혜택

 

전셋집을 고를 수 있으면서도, 저금리 임대료와 소액 보증금만 내면 되는 매우 실용적인 대책입니다.



📌 2025년 신청 일정 및 방법

 

모집 기간: 2025년 4월 30일 ~ 12월 31일 (18:00까지 마감)
신청 방법: LH 청약플러스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접수
필수 준비: 공동·금융·네이버 인증서 중 1개, 서류는 스캔 첨부

 

※ 수시모집이므로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빠르게 접수하세요!



📌 신청 자격 및 우선순위

 

순위 대상 조건
1순위 2년 이내 신생아 출산 가구, 한부모가족
2순위 태아 포함 자녀 있는 신혼·예비신혼, 6세 이하 자녀 있는 한부모
3순위 자녀 없는 신혼·예비신혼
4순위 6세 이하 자녀 있는 혼인가구

 

💡 참고: 신생아 우선공급 혜택이 있으므로, 아이가 있거나 예정이라면 지금 신청이 유리합니다.



📌 소득 및 자산 기준

 

  • 소득: 도시근로자 평균소득 70% 이하 (맞벌이 90%)
  • 총자산: 3억 3,700만 원 이하
  • 자동차: 차량 기준가액 3,803만 원 이하

 

※ 신생아 자녀가 있는 경우 일부 기준 완화



📌 전세금 지원 한도 및 임대료

 

지역 최대 지원금
수도권 1억 4,500만 원
광역시/세종 1억 1,000만 원
기타 지역 9,500만 원

 

  • 입주자 부담: 전세금의 5%
  • 임대료: 연 1~2% 수준 저금리
  • 다자녀 가구는 금리 감면 추가 혜택



📌 지원 가능 주택 조건

 

  • 전용면적 85㎡ 이하 (다자녀는 예외)
  • 오피스텔 포함 가능
  • 전입신고, 확정일자 가능해야 함
  • 보증부 월세도 전세 전환 시 지원 가능

 

본인이 직접 찾은 전셋집도 조건만 맞으면 지원 가능합니다!



📌 거주 기간 및 계약 조건

 

  • 최초 계약: 2년
  • 재계약: 최대 9회 가능 → 최대 20년 거주
  • 신생아 특례: 자녀가 성년이 될 때까지 거주 연장 가능
  • 재계약 조건: 무주택 유지, 소득 기준 105% 이내

 

거주 안정성 측면에서 타 전세지원 제도와 비교해도 매우 우수합니다.



📌 Q&A



Q1. 전세금은 얼마나 부담하나요?
A. 전체 전세금의 5%만 본인이 부담하며, 나머지는 LH가 지원합니다.

 

Q2. 기존 보증부 월세 주택도 신청 가능한가요?
A. 네, 전세로 전환 가능한 조건이라면 신청 가능합니다.

 

Q3. 본인이 원하는 집을 고를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입주자가 직접 집을 찾아서 LH와 계약을 체결합니다.

 

Q4. 임대료는 얼마인가요?
A. 전세금 5%와 월 1~2%의 저금리로 책정되며, 다자녀일수록 더 낮아집니다.

 

Q5. 신청은 언제까지 가능한가요?
A. 2025년 12월 31일까지지만 수시모집으로 조기 마감될 수 있어 서둘러야 합니다.



🔚마무리: 지금이 바로 신청할 타이밍입니다

 

✔️ 전세가 급등, 대출 규제 강화 시대에 월세보다 저렴하게 20년 동안 살 수 있는 제도!
신혼부부, 예비부부, 신생아 가구라면 반드시 이 제도를 활용해보세요.

 

전세금의 5%만으로 안정적인 보금자리 마련!
지금 바로 신청 자격을 확인해보세요.

 

 

반응형